카테고리 - 사회, 경제

주식 용어 어렵네요… 주식 ROE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일
2025-07-05
조회수
1,046회
좋아요
11회
안녕하세요.
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ROE은 자기자본이익률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자기자본의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 반영하는 지표가 바로 ROE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은 경상이익 / 세전순이익 / 세후순이익 등이 기간이익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식시장에서는 ROE이 주가에 반영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투자지표로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X 100으로 계산하여 산출된 값입니다.

ROE가 높다라고 하는 것은 자기자본에 비해 그만큼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서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또한, ROE가 회사채 수익률보다 높으면 양호한 것으로도 평가되고 있습니다.
적어도, 정기예금 금리는 넘어가야 적절하다고 볼 수 있으니, 이 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되셨기 바랍니다.


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댓글 11

    해드셋느낌표 궁금하넷 지식 BEST

    해드셋느낌표 유사한 질문 LIST

    주식 ROE ROA 질문 ROE가 10.3% ROA가 8% 이렇게 나와있는데 이 두가지 수치로 평가 해주실 수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 ㅠㅠㅠㅠㅠㅠ 주식 roe에서 자기자본 운영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지표라고 하잖아요? 여기서 자기자본이 나 자신의 자본 말하는 건가요? 아니면 그 회사의 자본인가요? 주식ROE 주식 ROE ROE는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건데 ROE가 높을수록 이익을 많이 벌었다는 소리는 이해가가는데 그게 기업이 탄탄하다고 판단할 근거가... 왜냐하면 ROE가 높으면 당기순이익이 자기자본에 비해 높다는 소리인데 자기자본이 오히려 높아야 기업이 탄탄한거 아닌가요? 헷갈리네요... 주식, 회계 재무제표 ROE에 대해 저는 일단 주식투자자이고 회계를 수학적으로 깊이 분석하는 댓글은 자제해주세요. 제가 책에서 배운 내용은 자산 = 자본 + 부채 ROE = 순이익 / 총자본 근데 책에는 이상하게 ROE는 과도한 부채로 높아질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한마디로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ROE를 높일 수 있다고 하죠 근데... 주식ROE PER PBR EPS ROE는 어느수준부터 낮다, 높다볼수? 주식관련된 질문이에요~ PER PBR 은 어느정도되어야 낮다고 하는지 알고싶어요~ 보통 기업들은 어느정도 수준인지.. 어디서 듣기로는 10정도면 낮다고 한다든데.. EPS ROE은 몇 부터 높다고 할 수 있는지 일반적으로 몇정도인지~

    no1icon 0
    2025-07-05 18:03:24
    주식 용어 어렵네요… 주식 ROE 설명 부탁드립니다. : 궁금증 해결은 궁금하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