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교육, 자격증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의 MPa 단위의 해석을 부탁합니다

답변일
2025-06-19
조회수
1,848회
좋아요
16회
안녕하세요.
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KS F 2405)
1. 시험의 목적

- 재료 및 배합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확인하고 배합을 결정

- 콘크리트의 품질 관리에 이용

- 압축 강도 시험값으로부터 다른 성질(인장 강도, 휨강도, 탄성계수)의 대략값을 추정

- 거푸집 해체시기 결정



2. 시험시기 및 횟수

​- 타설량 150㎥마다 1회

- 1회의 시험에는 3개의 공시체 사용

- 몰드는 3조(28일) 1조(7일) 총 4조(총 12개의 공시체 필요)

- 구조체 관리용 공시체는 별도 제작



3. 시료 채취 및 양생

1) 현장에서 몰드에 레미콘을 3층으로 나누어서 각층을 25회 다짐하여 공시체를 만든다.

2) 다음날 몰드가 어느정도 굳어지면 시험실 양생 수조로 옮긴다.

3) 시험실의 양생 수조는 20±3℃를 유지한다.

4) 양생후 7일, 28일 압축강도 시험(ks f 2405)을 진행한다.
4. 시험 방법

1) 공시체를 공시체 지름의 1% 이내의 오차에서 그중심축이 가압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놓는다.

2) 시험기의 가압판과 공시체의 윗면을 밀착시킨다.

3) 공시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똑같은 속도로 하중을 가한다.

4)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압축 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0.6±0.4)MPa가 되도록한다.

5) 공시체에 급변한 변형을 시작한 후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의 조정을 중지하고 하중을

계속 가한다.

6)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시험기가 나타내는 최대 하중을 유효 숫자 3자리까지 읽는다.



주의 : 콘크리트 강도는 공시체의 건조 상태나 온도에 따라 상당히 변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양생을 끝낸 직후 바로 시험을 하여야 한다.

5. 압축강도 시험 활용

1) 1일 압축강도 – 탈형강도 확인

수직재 거푸집(기초, 기둥, 벽체)는 24시간 양생후 5MPa 이상인지 확인



2) 7일 압축강도 – 28일 강도 추정

1조 3개의 공시체를 시험해서 평균 압축강도를 산정한다.

1회의 시험결과는 지정한 호칭강도의 85% 이상 시험결과가 환산설계기준강도 이상이 되면

합격이다.





* 환산설계기준강도 [설계기준강도(호칭강도) - 0.336]/1.51

추정 28일 강도 (평균값 × 1.51) + 0.336



3) 28일 강도

3조 9개의 공시체를 시험하고 평균 압축강도를 구한다.

1회의 시험결과는 지정한 호칭강도의 85% 이상 평균값이 호칭강도 이상이면 합격이다.



6. 불합격시 조치

1) 관리재령의 연장 검토

2) 비파괴시험 실시(슈미트 해머 등)

3) 문제된 부분의 코어 채취하여 압축강도 시험

4) 코어의 압축강도가 평균값이 호칭강도의 85%초과하고 각각의 값이 75%초과하면 합격

5) 코어의 압축강도가 불합격의 경우 재하시험 실시

6) 재하시험 결과 불합격의 경우 구조물 보강 등의 조치-출처 유튜브 Tosi TV

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댓글 16

    해드셋느낌표 궁금하넷 지식 BEST

    독일 국기랑 벨기에 국기 너무 비슷해서 헷갈려요 ㅠ 혹시 벨기에 국기 의미 알려주실 수 있나요?

    no1icon 19

    서경대학교 지원 해보고 싶은데, 수시 등급이 얼마나 나와야 합격하는지 모르겠네요 ㅠ 서경대학교 수시 등급 좀 알려주세요!

    no1icon 19

    아이들이랑 연 만들어서 연 날리기 하고 놀려고 해요~ 방패연 만들기 방법 알려주세요 ^^

    no1icon 19

    토익 600점 정도 맞으면 수준이 어느 정도 인 건가요? 중간은 가나요?

    no1icon 19

    과학 주제 선정해서 탐구 보고서 작성하는게 수행평가인데요.. 주제 어떤 걸로 정하는게 좋을지 모르겠네요 ㅠ 학교에서 수행평가로 내기 좋은 과학 탐구 주제 추천해주세요!

    no1icon 19

    정보라 작가가 쓴 저주 토끼 책 읽어보고 싶은데 무료로 읽어볼 수 있는 방법 있으면 알려주세요!

    no1icon 19

    Clarke, Ginjer L. WATCH OUT 영어 원서 사보려고 하는데, 어디서 사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나요?

    no1icon 19

    주식 용어 중에 OPM 뜻이 뭔가요?

    no1icon 19

    코나아이(주) 채용 지원 하려고 하는데요! 여기 자소서 어떻게 써야 합격률 높일 수 있을까요? 좀 알려주세요!

    no1icon 19

    늦기 전에 외국어를 좀 배우려구요,, 프랑스어학원 한 달 비용이 보통 얼마인가요?

    no1icon 19

    아이가 곧 두돌이라 몬테소리 방문수업 고민중이에요^^ 비용은 보통 얼마 정도인가요?

    no1icon 19

    솔루토이 지리 전집 구매하려고 하는데요~ 전집 싸게 구매할 수 있는 곳 알려주세요~

    no1icon 19

    요새 자연 재해나 사건 사고가 너무 많아서 시드볼트에 관심이 많이 가더라고요. 시드볼트 관련 책 혹시 읽어볼만한 것 있으면 추천 부탁드려요!

    no1icon 19

    밥잘안먹는 아이 어떻게 하면 개선할 수 있는지 노하우 있으면 알려주세요

    no1icon 19

    동국대 정시등급 평균 몇등급 정도 나와야 안정권인가요?

    no1icon 19

    OPIC등급 자세하게 알고 싶습니다

    no1icon 19

    제가 부경대 가게 될 것 같은데, 집에서 멀어서요 ㅠ 혹시 부경대 기숙사 들어가기 어려운가요?

    no1icon 19

    리얼리티 트랜서핑 책 전 권 사서 읽고 싶은데,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곳 알려주세요!

    no1icon 19

    이번에 농협은행(주) 입사 지원 했습니다. 이제 면접 준비 시작해야하는데, 혹시 합격할 수 있는 면접 팁이나 예상 질문 같은 거 있을까요?

    no1icon 19

    외국어 배우고 싶어서 독일어 학원 다닐까 고민중인데 학원비가 대략적으로 얼마 정도인가요?

    no1icon 19

    해드셋느낌표 유사한 질문 LIST

    안녕하세요. 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KS F 2405) 1. 시험의 목적 - 재료 및 배합한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를 확인하고 배합을 결정 - 콘크리트의 품질 관리에 이용 - 압축 강도 시험값으로부터 다른 성질(인장 강도, 휨강도, 탄성계수)의 대략값을 추정 - 거푸집 해체시기 결정 ​ 2. 시험시기 및 횟수 ​- 타설량 150㎥마다 1회 - 1회의 시험에는 3개의 공시체 사용 - 몰드는 3조(28일) 1조(7일) 총 4조(총 12개의 공시체 필요) - 구조체 관리용 공시체는 별도 제작 ​ 3. 시료 채취 및 양생 1) 현장에서 몰드에 레미콘을 3층으로 나누어서 각층을 25회 다짐하여 공시체를 만든다. 2) 다음날 몰드가 어느정도 굳어지면 시험실 양생 수조로 옮긴다. 3) 시험실의 양생 수조는 20±3℃를 유지한다. 4) 양생후 7일, 28일 압축강도 시험(ks f 2405)을 진행한다. 4. 시험 방법 1) 공시체를 공시체 지름의 1% 이내의 오차에서 그중심축이 가압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놓는다. 2) 시험기의 가압판과 공시체의 윗면을 밀착시킨다. 3) 공시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똑같은 속도로 하중을 가한다. 4)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압축 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0.6±0.4)MPa가 되도록한다. 5) 공시체에 급변한 변형을 시작한 후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의 조정을 중지하고 하중을 계속 가한다. 6)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시험기가 나타내는 최대 하중을 유효 숫자 3자리까지 읽는다. 주의 : 콘크리트 강도는 공시체의 건조 상태나 온도에 따라 상당히 변화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양생을 끝낸 직후 바로 시험을 하여야 한다. 5. 압축강도 시험 활용 1) 1일 압축강도 – 탈형강도 확인 수직재 거푸집(기초, 기둥, 벽체)는 24시간 양생후 5MPa 이상인지 확인 2) 7일 압축강도 – 28일 강도 추정 1조 3개의 공시체를 시험해서 평균 압축강도를 산정한다. 1회의 시험결과는 지정한 호칭강도의 85% 이상 시험결과가 환산설계기준강도 이상이 되면 합격이다. ​ ​ * 환산설계기준강도 [설계기준강도(호칭강도) - 0.336]/1.51 추정 28일 강도 (평균값 × 1.51) + 0.336 ​ 3) 28일 강도 3조 9개의 공시체를 시험하고 평균 압축강도를 구한다. 1회의 시험결과는 지정한 호칭강도의 85% 이상 평균값이 호칭강도 이상이면 합격이다. ​ 6. 불합격시 조치 1) 관리재령의 연장 검토 2) 비파괴시험 실시(슈미트 해머 등) 3) 문제된 부분의 코어 채취하여 압축강도 시험 4) 코어의 압축강도가 평균값이 호칭강도의 85%초과하고 각각의 값이 75%초과하면 합격 5) 코어의 압축강도가 불합격의 경우 재하시험 실시 6) 재하시험 결과 불합격의 경우 구조물 보강 등의 조치-출처 유튜브 Tosi TV 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no1icon 0
    2025-06-19 13:07:37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의 MPa 단위의 해석을 부탁합니다 : 궁금증 해결은 궁금하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