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 기타
요즘 저출산이 엄청 문제라고 하던데,, 저출산 정책 추가 사항이 있나요?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좋아요
- 답변일
- 2025-08-14
- 조회수
- 574회
- 좋아요
- 15회
안녕하세요.
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저출산정책 추가 사항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1. 육아/출산 인센티브 강화
- 부모급여 : 23년 기준 만 0세 자려를 둔 부모에게는 월 70만원, 만 1세는 월 35만원 지급
- 첫만남 이용권 : 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하는 모든 아동에게 200만원 바우처 지급
- 3+3 부모육아휴직제 도입 : 만 0세 이하 자녀의 부모가 차례대로 휴직 할 경우 생후 12월까지 상한액 월 150만원(통상임금의 150%)를 지급, 부모 둘다 휴직 할 경우 3개월간 임금의 100% (개월마다 상한액 존재) 지급
2. 국가 돌봄책임 강화
- 초등돌봄교실 시간 확대, 방과후 학교 확대
3. 육아휴직/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
- 육아휴직 기간 1년 5개월로 확대,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
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저출산정책 추가 사항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1. 육아/출산 인센티브 강화
- 부모급여 : 23년 기준 만 0세 자려를 둔 부모에게는 월 70만원, 만 1세는 월 35만원 지급
- 첫만남 이용권 : 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하는 모든 아동에게 200만원 바우처 지급
- 3+3 부모육아휴직제 도입 : 만 0세 이하 자녀의 부모가 차례대로 휴직 할 경우 생후 12월까지 상한액 월 150만원(통상임금의 150%)를 지급, 부모 둘다 휴직 할 경우 3개월간 임금의 100% (개월마다 상한액 존재) 지급
2. 국가 돌봄책임 강화
- 초등돌봄교실 시간 확대, 방과후 학교 확대
3. 육아휴직/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
- 육아휴직 기간 1년 5개월로 확대,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
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궁금하넷 지식 BES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5-08-14 13:06:59
요즘 저출산이 엄청 문제라고 하던데,, 저출산 정책 추가 사항이 있나요? 자세하게 알려주세요! : 궁금증 해결은 궁금하넷
댓글 15